단양중학교 로고이미지

진로상담실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작성자 박해숙 등록일 12.05.20 조회수 447
가. 천직의식과 소명의식
인간의 생활에 있어서 직업은 매우 중요하다. 옛날에 직업을 갖는 사람에게는 직업을 스스로 하고 있는 일을 자신이 선택했다기보다, 하늘이 자신에게 부여한 신성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런 천직 의식은 전통 사회에서 더 강했다고 볼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천직 의식이란 옛날과 같은 운명론적인 천직이 아니라 자신의 직업을 그만큼 소중하게 생각하고 자신의 직업에 최선을 다하라는 직업의식으로 정의된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은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최선을 다함으로써 천직 의식을 갖는다 비록 다른 직업이 많은 수익과 높은 지위를 보장하더라도 그런 직업보다 현재 자신의 직업을 사랑하고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바로 천직 의식이다.
서양에서는 종교개혁 이후 직업에 대한 소명 의식이 형성되었으며 자기 자신의 직업을 바로 하늘의 소명(Calling)이라는 직업 의식이다 조물주(하늘)는 모든 사람에게 서로 다른 재능을 주고 그 재능에 따라 여러 가지 직분을 정해 주셨으므로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에 최선을 다함으로써 하늘의 뜻을 다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소명 의식에 기초한 직업윤리는 돈과 명예와 권력 같은 세속적 가치를 보상으로써 기대하는 직업윤리가 아닌 종교적 구원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근면, 정직, 성실, 신용, 검약을 직업 활동의 신조로 삼는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직업 윤리는 철저한 신용을 생명으로 하였으며, "정직이 최선의 정책이다.(Honesty is best policy)" , "시간은 금이다(Time is money)" 와 같은 직업 활동과 관련된 격언이 만들어졌다.
나. 직업 의식과 봉사정신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을 통하여 사회에 참여하고 있다 즉 직업을 가진 모든 개인은 사회의 기능 중 일부를 맡아 수행함으로써 사회에 참여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직업은 각자가 맡은 직분" 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전통사회에서의 농민들은 "농자천하지대본" 이라는 직업에 대한 긍지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농업이 가장 근본적인 생산 경제활동이라는 인식을 반영한 것이며 식량의 생산이 천하 즉 나라를 떠받드는 기반이 된다는 일종의 직업을 통한 사회 참여 의식이었다고 볼 수 있다.
현대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의 직업의 직분으로서의 성격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모든 직업인들은 자기자신이 맡은 직분을 수행하면서 살아가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직업환경의 변화와 직분 의식의 강화는 모든 직업인들로 하여금 자신의 직업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협동정신과 봉사정신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적 직분 의식을 가진 직업인들은 자신의 고객에 대해 항상 친절하고 자기 자신은 물론 그러한 직업인들과 모든 사람들이 하루하루를 행복하고 명랑하게 살아가는 밝은 사회로 발전되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2. 직장과 직업윤리
산업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사회에서 직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과거 어느 때보다 크며 직업이 개인생활에서 가지는 의미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불 수 있다.
옛날의 농경 사회와는 달리 현대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는 모든 사람이 직업에 참여할 것을 요구 받고 있으며, 직업이 없이는 떳떳한 사회 생활을 할 수 없으며, 삶의 의미를 찾기도 어려운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현대에 있어서 직업은 생계의 유지를 위한 수단인 동시에 사회 공동 생활에 참여하는 통로이며, 나아가서는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인격의 도야를 이룩하는 광장이요, 도장이기 때문이다.
가. 직업의 목적
첫째, 직업을 가짐으로써 생계유지에 필요한 재화를 얻는다.
둘째, 공동체가 해야 할 일의 일부를 직업을 통하여 분담함으로써 사회에 봉사한다.
셋째, 적성에 맞는 직업에 종사하는 가운데 각자의 소질을 계발하고 인격을 연마함으로써 자아를 실현한다.
이 세 가지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에 적합한 직업이 그 사람에게 바람직한 직업이라고 할 수 있다. 직업이 갖는 이 세 가지 목적을 수행하였을 때 건전한 직업 관이 형성된다.
생계에 필요한 재화를 벌어들이는 일이 직업을 가지는 목적의 하나라는 것은 누구나 익히 아는 사실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직업이 갖는 이 첫째 목적을 지나치게 중시한 나머지, 마치 이것이 직업을 가지는 목적의 전부인 것처럼 착각하는 사람들이 금전만능의 경박한 풍부를 야기할 뿐 아니라, 개인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갖는 중요한 목적의 하나이다.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누구나 조직에 속하게 마련이며, 모든 조직은 공동체로서의 과업을 가지고 있다. 공동체의 과업을 훌륭하게 달성하는 것은 구성원들 모두의 책임이며, 구성원들은 주로 직업에 종사함으로써 과업을 부담한다. 각자가 분담한 과업을 충실히 수행할 때에 공동체는 번영하며 번영 된 공동체 속에서 개인은 자신의 뜻을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사회봉사의 목적과 자아실현의 목적은 상호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개인은 각자의 소질과 특기를 살려 공동체의 과업에 참여하게 되는데, 소질과 특기를 최대한으로 발휘하여 공동체에 참여하는 것은 개인의 인격을 도야하고 자아의 실현을 달성 시키는 매우 중요한 길이 된다. 우리는 직업을 통하여 사회공동체에 참여하는 것은 개인의 인격을 도야하고 자아의 실현을 달성 시키는 매우 중요한 길이 된다. 우리는 직업을 통하여 사회공동체에 봉사하게 되고, 그 공동체 속에서 보다 큰 '나'를 발견하는 가운데 자기의 인격을 완성하고 자아를 실현해 나가게 된다. 직업의 슬기로운 선택을 위하여 우리가 깊이 유의해야 할 점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리가 고려해야 할 구체적 사항은 개인차에 따라 다양하겠으나, 일반적으로 유의해야 할 기본원칙은 다음과 같다.
나. 직업선택의 기본원칙
첫째, 수입의 많고 적음에 의해서만 직업을 평가하는 태도로 옳지 못하다. 생계유지에 필요한 수입을 얻는 것은 직업을 가지는 목적의 일부임에 틀임이 없으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따라서, 수입에만 치중하여 직업을 선택하는 것은 현명한 태도가 아니다.
둘째, 직업선택의 무지를 고려할 때에 우리는 개인의 소질과 능력, 그리고 취미를 고려하여야 한다. 직장은 소질의 연마와 더불어 자아실현의 장소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셋째, 직업의 선택은 사회에 대한 공헌도를 깊이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사회가 요구하는 직업들 중에서 자신의 개성에 맞는 직종을 선택함으로써 사회에 공헌을 할 수 있고, 또 개인으로서의 목적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직업의 선택은 장래성을 고려해야 한다. 직업을 자주 바꾸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가능하면 평생동안 종사할 수 있는 직종을 처음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성공적인 직장인의 마음가짐
첫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공공성과 사명감을 가지고 합리적으로 모든 일을 처리해야 한다. 직업은 자신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전체의 책임을 수행하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둘째, 모든 직업인은 근면 성실하고 , 봉사정신에 투철해야 하며, 항상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또,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연구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일을 스스로 찾아서 하는 적극적 태도를 가져야 한다. 이는 성공적인 직업인이 필요한 마음가짐이다.
셋째, 직업인은 협동심과 준법정신을 가져야 한다. 현대 사회에서 직업 또는 직장은 여러 사람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협동 및 준법정신은 성공적인 직장생활을 휘한 필수적 요건이다.
넷째, 현대의 직업인은 국가와 민족 및 전 인류를 생각하는 차원에서 자기의 직업을 선택하는 안목을 가져야 한다. 자기의 직업을 사랑하고 애착을 느끼지만, 사회 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없으면, 그 사람의 직장에는 편협한 이기주의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사회 공동체 안에서 자기의 직업이 가지는 의의와 사명을 깊이 인식하고 자기 직업에 충실할 때, 진정한 의미에서 개인의 행복과 사회 공동체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훌륭한 직장생활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열거한 마음가짐들은 비단 직장생활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의 모든 영역에서도 절실하게 요청되는 덕목들이다. 모든 사람들이 자기의 직장에서 성실한 일군으로서의 책임을 다할 때에 국가는 발전하다. 그러므로 직장윤리는 곧 국민윤리라고 할 수 있다.
이전글 드림레터 14호
다음글 드림레터 10호